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분리설정
- migrate
- server
- restfulapi
- REST
- 사용자인증
- http
- resful
- web
- 서버설계
- API
- djangorest
- virtual environment
- 웹
- django 시간 설정
- SOAP API
- restapi
- url
- 환경분리
- secretkey
- 파이썬
- 환경설정하기
- Django
- PYTHON
- 서버구동
- 서버 만들기
- 장고
- restful
- migrations
- rest framework
- Today
- Total
목록web (2)
grape
URL 설계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, 고객의 요구사항이 정리되면 먼저 디자인 측면에서는 화면 UI를 설계하고, 프로그램 로직 측면에서는 URL을 설계하게 된다. 즉, URL의 설계는 웹 서버 로직 설계의 첫 걸음이고, 사용자 또는 웹 클라이언트에게 웹 서버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명시해주는 중요한 단계이다. URL의 구성 URL 스킴 : URL에 사용된 프로토콜을 의미한다. 호스트명 : 웹 서버의 호스트명으로, 도메인명 또는 IP 주소로 표현 된다. 포트번호 : 웹 서버 내의 서비스 포트 번호이다. 생략시에는 디폴트 포트번호로, http는 80을 https는 443을 사용 경로 : 파일이나 애플리케이션 경로를 의미한다. 쿼리스트링 : 질의 문자열로, 앰퍼샌드(&)로 구분된 키=값 쌍 형식으로 표현 한..
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HTTP는 텍스트 기반의 통신 규약으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. 프로토콜은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이렇게 규칙을 정해두었기 때문에,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칙에 맞춰 개발해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된 것이다. 또한 HTTP는 TCP/IP 위에서 동작한다. 즉, 우리가 웹을 이용하려면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는 각각 TCP/IP 동작에 필수적인 IP주소를 가져야 한다는 의미이다. HTTP란 이름대로라면 하이퍼텍스트(Hypertext) 전송용 프로토콜이지만, 실제로는 HTML, XML과 같은 하이퍼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, 음성, 동영상, JavaScript, PDF와 각종 오피스 도큐먼트 파일 등 컴퓨터에서..